경기 침체로 소득세, 법인세 등 세수입 감소 우려 속에서 부동산 보유세만 급등

박세경 | 기사입력 2019/07/05 [19:23]

경기 침체로 소득세, 법인세 등 세수입 감소 우려 속에서 부동산 보유세만 급등

박세경 | 입력 : 2019/07/05 [19:23]

7월 재산세 부과를 앞두고 급격한 공시가격 인상에 따라 우려됐던 부동산 보유세 폭탄이 현실화될 전망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김현아 국회의원(자유한국당, 비례대표)은 국회 예산정책처에 의뢰해 제출받은 '2019년 공시가격 인상에 따른 부동산보유세 증가분 추정'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등 부동산 보유세 세액 추정치는 15조5,13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5.3%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세부적으로 종합부동산세는 2018년 대비 1조1,1632억 원이 증가한 3조271억 원으로 추정되며, 재산세는 8,924억 증가해 12조4,86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침체 우려로 다른 세수입은 감소하는데 비해 부동산 보유세만 15.3%로 두 자리수 이상 급등하는 것이다. 국회예산정책처 '중기 총수입 전망'을 분석한 결과, 2019년 세수입 전망치 전년 실적대비 비율의 경우 법인세는 9.9%, 부가가치세 4.1% 증가하고, 소득세 –1.7%, 교통에너지환경세는 –3.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경기침체로 인해 기업의 영업이익이 급감하고 있는 상황에서 법인세 세입은 전망치보다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부가가치세 또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법인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수입은 경기 상황에 따라 변동이 크지만, 부동산 보유세는 경기변동에 상관없이 예정된 세수입 확보가 가능하다. 설사 주택가격이 조금 하락하더라도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높이면 되는 것이다.

부동산 공시가격을 계속해서 현실화하면 안정적인 세수 확보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처럼 문 정권은 세수 확보를 위해 부동산 보유세를 활용하고 있다.

2012년부터 부동산 보유세 실적 및 증가율을 확인해보면 문 정권 들어 부동산 보유세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전년대비 보유세 증가율은 평균 5.6%에 불과했지만, 2018년 7.0%, 2019년 15.3%로 문재인 정권 들어 증가율이 급증했다.

종부세가 2019년 62.4%로 급격하게 인상됐고, 재산세도 2013년부터 2018년 평균 5.7%에 비해 2%가량 오른 7.7%의 상승률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급격한 공시가격 인상이 부동산 보유세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이다.

김현아 의원은 “급격한 공시가격 인상에 따라 우려됐던 부동산 보유세 폭탄 우려가 현실화 됐다”며 “문 정권이 과세형평, 조세정의를 이유로 공시가격을 급등시켰지만, 결국 경기침체 속에 선심성 포퓰리즘 세수확보를 위한 꼼수였음이 입증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결국 문재인 정권의 이념 편향된 부동산 정책이 집가진 국민만 힘들게 하고 있다”며 “공시가격 운용제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적 합의에 따른 목표치 설정이 반드시 필요한 만큼 자유한국당이 국민 부담 경감3법으로 지정한 '부동산 가격 공시에 관한 법률 개정안'의 조속한 국회 통과가 필요하다”고 말했다./박세경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효린, 스티비 원더와 10년 만에 재회한 사진 올려 '관심'
광고
광고
광고